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토론회

취지

‘마산만 매립, 더 이상은 안 된다’는 시민여론이 확산되면서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추진 방향 조정위원회를 통해 ‘가포신항만부지용도 변경 안’을 최우선 안으로 채택하였다.

지역사회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가포신항만부지용도 변경’ 안은 국토해양부에 제안되었고, 창원시를 비롯한 관계기관 중심으로 TF팀이 구성되어 5차례 회의가 진행된 상태이다.

하지만, 언론에서 보여지는 TF팀 운영 과정과 방향은 지역의 여론과 합의점이 완전히 무시된 채 진행되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지역여론은 마산만 매립을 반대하여 ‘가포신항만부지 용도변경’에 향하고 있는데, TF팀에서 논의되고 있는 방향은 이를 무시한 채 ‘매립 축소’의 방향으로 치 닿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으로 나간다면 기존의 마산해양신도시건설사업의 축소판이 되지 않을까라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이에,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시민 의견 수렴과정이 생략된 현재 TF팀 진행과정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진단하고, 마산해양신도시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올바른 방향 도출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한다.

일시 : 2011년 3월 9일 (수) 오전 10시 30분

장소 : 마산YMCA 월남실

주관 :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내용

사회

차윤재(창원물생명시민연대 공동대표)

발표 1.

(20분)

마산해양신도시 건설 사업 변경에 대한 국토해양부 TF팀 운영 보고 및 창원시의 입장

김현만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장)

발표 2.

(30분)

마산해양신도시건설사업 변경의 올바른 방향

허정도

(전 마산해양신도시건설사업추진방향조정위원장)

토론 1.

(10분)

이찬원 (경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토론 2.

(10분)

서익진 (경남대 경제학과 교수)

토론 3.

(10분)

이보경 (창원물생명시민연대 집행위원장)

전체토론(30분)

'마산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마산만.  (0) 2013.04.21
겨울 행암만  (0) 2013.04.21
봉암의 새들  (0) 2011.01.24
통합 창원시 도시발전 토론회  (0) 2011.01.18
가포신항만 부지 용도변경 시민추진협의회 출범  (0) 2011.01.18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공무원 교육

보도자료 2011. 2. 21. 20:34 Posted by 생명의바다
1298288227_110221마산만민관산학협의회 보도자료.hwp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공무원 교육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위원장 이찬원)는 2011년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경남대학교 디자인관에서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공무원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무원 교육에서는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오염총량관리제 추진 현황, 연안오염총량관리제 조사연구 분야 이론 및 실무교육, 제2차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방향, 마산만 현장 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국 연안해역 중 오염이 고질적으로 심화되어 있던 마산만(행암만)의 해양환경을 개선하여 마산만 유역 주민들에게 보다 쾌적한 바다 환경을 제공하고자 2008년 2월 국토해양부와 경상남도가 공동으로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08년 10월 8일자 창원ㆍ마산ㆍ진해시 시행계획이 수립ㆍ승인되어 본격적인 연안오염총량제가 시행되었다. 이번 교육은 마산만 인근 3개 지자체 통합이후 처음 열리는 교육으로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지방해양항만청 등 마산만 인근지역의 관계자뿐만 아니라 광양, 인천시화 등 특별관리해역지역과 통영, 사천, 남해, 하동 해양관련 관계자도 참석할 예정이다.

마산만은 지난 10년 동안 환경관리를 위한 정부의 집중 투자로 해양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었다. 일부 수질항목이기는 하나 환경 개선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마산만에 인접한 시민의 해양환경 보전에 대한 인식 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

과거 마산만은 비록 가장 오염된 해역이었지만 이제는 해역 개선의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 해역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최초로 마산만에서 도입·시행 중인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의 효과이기도 하다. 이번 공무원 교육을 통해 단지 마산만의 수질개선뿐만이 아닌 살아 숨쉬는 연안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

일 차

시 간

1 일 차

2 일 차

09:00-09:50

등 록

연안오염총량관리 동영상 시청

진 행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10:00-10:50

(1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의 기본 정책 방향의 이해

이행평가보고서 작성 (이론/실습)

오염원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 (이론/실습)

강 사

남정호 박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00-11:50

(2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강 사

이재영 사무관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과)

주용수 연구원

(경남발전연구원)

11:50-13:00

중 식

13:00-13:50

(3교시)

해양생태계모델링 및 부하량 할당

웹기반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장 작성

(실무 교육)

강 사

홍석진 박사

(국립수산과학원)

14:00 -14:50

(4교시)

알고 마시면 두 배로 맛있는 커피

(교양 교육)

강 사

한경아 커피매스터

(스타벅스 커피코리아)

이현정 이사

((주) 빌리언21)

15:00 -15:50

(5교시)

오염부하량 삭감방안: 점/비점오염원

마산만 답사 및 현장 담사

진행 : 전홍표/이성진/ 연구원

(마산만특별관리해역민관산학협의회)

진행 : 이보경 부장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강 사

김진이 박사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총량연구과)

16:00 -16:50

(6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수도 통합 창원시

강사

17:00 -17:50

(7교시)

강 사

이찬원 교수

(경남대학교)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에서는 2011년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경남대학교 디자인관 시청각실에서 연안오염총량관리 공무원 교육을 실시 합니다. 과거 마산만은 비록 가장 오염된 해역이었지만 이제는 해역 개선의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 해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8년 국내최초로 도입·시행중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제도의 효과이기도 합니다. 통합으로 인해 과거 마산만 인근의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의 공동 노력이더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일반시민,시민사회단체, 기업체 등 관심있는 분들의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일시 : 2011년 2월 24일~2월 25일

장소 : 경남대학교 디자인관 1층 시청각실

교육프로그램

일 차

시 간

1 일 차

2 일 차

09:00-09:50

등 록

연안오염총량관리 동영상 시청

진 행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10:00-10:50

(1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의 기본 정책 방향의 이해

이행평가보고서 작성 (이론/실습)

오염원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 (이론/실습)

강 사

남정호 박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1:00-11:50

(2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현황 및 향후 추진방향

강 사

이재영 사무관

(국토해양부 해양환경정책과)

주용수 연구원

(경남발전연구원)

11:50-13:00

중 식

13:00-13:50

(3교시)

해양생태계모델링 및 부하량 할당

웹기반 연안오염총량관리 대장 작성

(실무 교육)

강 사

홍석진 박사

(국립수산과학원)

14:00 -14:50

(4교시)

알고 마시면 두 배로 맛있는 커피

(교양 교육)

강 사

한경아 커피매스터

(스타벅스 커피코리아)

이현정 이사

((주) 빌리언21)

15:00 -15:50

(5교시)

오염부하량 삭감방안: 점/비점오염원

마산만 답사 및 현장 담사

진행 : 전홍표/이성진/ 연구원

(마산만특별관리해역민관산학협의회)

진행 : 이보경 부장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강 사

김진이 박사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총량연구과)

16:00 -16:50

(6교시)

연안오염총량관리제와 환경수도 통합 창원시

강사

17:00 -17:50

(7교시)

강 사

이찬원 교수

(경남대학교)

통합창원시 연안갯벌의 현명한 이용을 위한 워크숍


❍ 통합창원시 연안에 분포되어 있는 갯벌의 현황 및 가치 인식 기회제공하고 행암만 주변 시설물과 연계한 행암만 생태학습장 현명한 이용방안 마련코저 통합창원시 연안갯벌의 현명한 이용을 위한 워크샾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합니다.

❍ 날짜: 2011년 2월 17일 (목) 오후 1:30~5:30

❍ 장소: 창원시 진해구 진해해양레포츠스쿨 (예정)

❍ 주최 : 경상남도, 경남람사르환경재단, 창원시

❍ 주관 : 마산만특별관리해역민관산학협의회,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경남대학교 환경공학과,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진해시니어클럽

❍ 세부 일정

주요내용

시간

주관

내용

개회 선언

1:30~1:40

사회자

내빈 소개

사회자

인사 말씀

람사르재단 대표

취지설명

주제발표

발제1

1:40~1:55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이보경부장

-창원시 갯벌조간대 현황 및 마산만 봉암갯벌 생태교육의 현황과 성과(마산만 영상물, 잘피조사, 어류조사)

발제2

1:55~2:10

전남발전연구원

김준 박사

- 갯벌교육과 지역주민 참여 연계방안

발제3

2:10~2:25

해양환경교육센터

이계숙 대표

- 시화호에서 진행되는 갯벌교육 현황과 과제

발제4

2:25~2:30

생태지평연구소

장지영

- 한국의 갯벌교육 지원 정책과 갯벌 가이드 양성제도

휴식

2:30~2:40

2:40~3:10

질의 응답/ 전체토론

현장 방문

3:10~5:10

진해시니어클럽

강사 5인

진해루 갯벌, 하수처리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