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가을 마산만 봉암갯벌 풍경 (0) | 2017.11.07 |
---|---|
1926년의 마산만과 2014년의 마산만을 비교하다.. (0) | 2014.03.06 |
4월의 마산만. (0) | 2013.04.21 |
겨울 행암만 (0) | 2013.04.21 |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토론회 (0) | 2011.03.08 |
2017년 가을 마산만 봉암갯벌 풍경 (0) | 2017.11.07 |
---|---|
1926년의 마산만과 2014년의 마산만을 비교하다.. (0) | 2014.03.06 |
4월의 마산만. (0) | 2013.04.21 |
겨울 행암만 (0) | 2013.04.21 |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토론회 (0) | 2011.03.08 |
4월의 마산만 모습입니다.
창원천과 남천이 만나는 곳입니다.
봉암갯벌 맞은편 입니다. 현재 봉암갯벌 생태체험장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귀산동으로 가니 곳곳에 낚시쓰레기 수거함이 보입니다. 지난 2011년 바다의 날에 시범사업으로 설치했던 수거함의 모양과 비슷하게 성산구에서 만들어 설치해 두었습니다. 낚시하는 분들이 늘어가는 것은 마산만이 살아나는 증거겠지만 또 그와 함께 낚시쓰레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준비가 필요한 시점인것 같습니다.
귀산동 입니다. 이곳이 마산만이 맞나 하고 생각될 정도로 깨끗한 마산만의 모습입니다. 이 모습이 여름이 되면 급격히 나빠집니다. 하지만 깨끗한 시기가 점점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맞은편의 마산항 1-1단계(가포신항)이 어렵풋이 보입니다
1926년의 마산만과 2014년의 마산만을 비교하다.. (0) | 2014.03.06 |
---|---|
봉암갯벌에 나타난 줄장지뱀. (0) | 2013.04.23 |
겨울 행암만 (0) | 2013.04.21 |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토론회 (0) | 2011.03.08 |
봉암의 새들 (0) | 2011.01.24 |
Project WET을 이용한 마산만 물환경 교육 - 첫번째시간
드디어 Project WET을 이용한 마산만 물환경 교육이 시작되었습니다.
Project WET (Water Education for teachers) 이란 미국에서 시작된 물과 관련된 과학, 물의 중요이슈들을 교육하기 위해 참여와 경험을 통한 교육 교육 프로젝트 입니다. (http://www.projectwet.org/)
우리나라에도 많이 소개되었구요. 풀무원 샘물에서 교육자료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마산만 교육에도 적용하기 위해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 첫시간으로 마산중학교 1학년과 '지구의 물'을 주제로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첫번째 교육은 지구상의 물의 분포와 물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교육이었습니다.
세가지의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1)확률의 개념을 통한 비율의 측정과 2)이를 통한 육지와 바다의 비율, 3)지구상에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의양
대부분의 학생이 지구표면의 약 71%가 물로 덮여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3:7의 비율로 넣어 놓은 주황사탕(29개), 녹색사탕(91개)을 넣었을때 녹색사탕이 나올 확률은 어떤가를 묻고 실제로 그런 결과가 나오는지 실제로 사탕을 뽑아 보았습니다.. 역시 사탕이란 말에 아이들이 좋아하더군요.
전체 학생들이 돌아가며 사탕을 뽑고 기록을 하였습니다.
총30번을 진행하였고 8개의 주황사탕과 22개의 녹색사탕 나온것을 확인하였습니다.
73%의 비율로 녹색사탕이 나왔고 실제 비율인 71%에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표본을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사탕먹는데 더 관심이..
이야기를 이어서 지구의 물의 비율과 실제 확인을 위한 게임을 진행하였습니다. 지구본 공을 던지고 받으며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있는곳이 육지인지 바다인지를 확인하고 기록하였습니다.
역시 몸을 움직이기 시작하자 아이들이 활발해 졌습니다.
기록을 해보니 육지가 10번, 바다가 20번 나왔습니다. 비율을 육지 33.3%, 바다가 66.6%입니다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실제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는 데 아이들이 반응을 보입니다..
아래는 아이들이 기록한 기록지 입니다.
마지막 으로 지구의 71%를 구성하고 있는 물이 어떤 형태와 비율로 존재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고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물의 량을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000ml 메스실린더에 물을 가득 부어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이라고 가정하고 아이들에게 담수와 해수가 어떤 비율인지를 물어서 실제로 작은 메스실린더에 담수의 양(약 3%, 30ml)만큼 옮겨 담았습니다.
담수중 빙하 및 만년설로 존재하는 물의 양 약 80%를 뺀 6ml로 옮겨 담은 후 이중 오염되지 않아 실제 인간이 이용가능한 물의 양은 스포이드 한방울 정도인 것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실제 인간이 사용 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은것에 아이들이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실제 마산만을 지키는 일중 물을 아껴쓰는 것이 지구를 살리는 일이기도 하다는 이야기를 나누며 첫번째 교육을 마쳤습니다.
아직 좌충우돌하는 하지만 재미있어하는 아이들이 있어 강사들도 즐거운 교육이었습니다.
이 교육은 풀무원샘물의 후원으로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과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3 바다주간 마산만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_ 두산엔진 앞 조간대 (0) | 2013.05.29 |
---|---|
2013 바다주간 마산만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_ 봉암갯벌 생태체험장 (0) | 2013.05.29 |
미야타유지와의 만남. (0) | 2013.04.17 |
봉암갯벌에서 보물 찾기. (0) | 2013.04.08 |
육상오염원 관리 및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시행 공동워크숍 (0) | 2011.01.18 |
겨울 행암만.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에는 마산만과 진해 행암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행암만 이동갯벌 입니다. 이곳에는 날씨가 따뜻해지면 바지락을 캐는 분들이 많아집니다.
봉암갯벌에 나타난 줄장지뱀. (0) | 2013.04.23 |
---|---|
4월의 마산만. (0) | 2013.04.21 |
마산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변경에 대한 토론회 (0) | 2011.03.08 |
봉암의 새들 (0) | 2011.01.24 |
통합 창원시 도시발전 토론회 (0) | 201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