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8일(수) 15시 창원컨벤션센터 607호에서 협의회 위원 11명, 사무국 2명, 참관인 12명 등 총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8차 민관산학협의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주요안건은 1) 제4차 환경관리해역 기본계획 및 제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 2)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2022년 이행평가 결과 3) 마산만 현안 논의: 덕동물재생센터 방류수 수질개선을 위한 논의 4) 2024년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역역량강화사업 계획 5) 기타안건: 창원천 준설에 관한 사항, 마산항 내호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이었습니다.
환경관리해역 (특별관리해역 및 환경보전해역)의 국가 계획인 제4차 환경관리해역 기본계획의 주요내용과 마산만 지역계획인 제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에 대한 연구진의 보고와 논의가 있었습니다.
또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2022년 기본이행평가 결과에 대한 연구진 보고와 논의도 진행되었습니다. 마산만 수질변화와 관련하여 환경자문위원회에 검토 요청하고, 연구자, 행정기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정책 연구소모임 활성화 하자는 논의 있었습니다. 마산만 수질변화 원인 분석을 위해 내부 자생부하 관련 모니터링, 용출량 실험, 자생부하량 검토 등 기초자료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덕동물재생센터 방류수 수질 개선을 위한 논의와 창원천 준설 및 마산항 내호 오염퇴적물 정화사업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제4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결과보고.pdf
1.03MB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실무협의회

협의회 소식 2024. 6. 20. 16:21 Posted by 생명의바다
2024년 4월 2일(화) 15:00~17:00 마산합포구청 3층 상황실에서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실무협의회가 개최 되었습니다. 실무협의회 위원 5명, 참관인 4명, 사무국 2명 등 11명 참석한 가운데 차기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일정 및 안건, 마산만 수질변화, 2024년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역역량강화사업 계획을 논의했습니다.
차기 48차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안건으로는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제4차 환경관리해역 기본계획),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2023년 이행평가 결과, 마산만 수질 변화 논의, 마산만 현안(해양신도시 인공섬 내호 오염퇴적물 정화복원사업 등), 2024년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역역량강화사업 계획 등을 상정하기로 하였습니다.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실무협의회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실무협의회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실무협의회

 

제4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결과보고.pdf
0.45MB

 제4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는 2023년 11월 22일(수) 오전 10시30분 창원컨벤션센터 601호에서 개최되었는데, 민관산학협의회 위원 11명, 사무국 2명, 참관인 11명 등 총 24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제4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의 주요의제
-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현안(정어리 집단폐사) 보고
-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 2022년 이행평가 및 제4차 관리계획(안) 마련
- 2023년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지역역량강화사업 추진 현황 및 2024년 계획
정어리 폐사와 관련하여 마산만 내만 수질은 육상기인 오염물질 관리에 대한 한계, 인공섬 조성으로 생긴 내호로 인한 지형적 변화로 해류 흐름변화 등 원인으로 준설과 해수 유통, 산소 공급 장치의 설치 등 다양한 방법이 필요하다는 창원시 관계자의 내부 의견 공유가 있었고, 추가 의견을 정리하여 관련부서와 협의 후 실무협의회에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오염퇴적물 정화복원사업은 현장조사를 통한 육상기인 오염원의 현황 파악, 과거 오염원 분포 조사 자료, 오염퇴적물의 모니터링 실시, 행암만 준설효과에 대한 자료 검토, 마산해양신도시 건설 후 해류 변화 결과, 전문가 자문 등으로 개선효과를 확인한 후 실무협의회 등을 통해 논의를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의 2022년도 이행평가 결과, 제3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 종합평가, 제4차 환경관리해역 기본계획(안), 제4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계획(안) 방향에 대한 관련 연구진의 보고와 논의가 있었습니다.
진해신항 준설토 투기장 호안, 남방파제(남측방파호안) 축조 공사 관련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과 진해만(마산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요구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향후 실무협의회, 진해만 열린소통포럼 등을 통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제4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4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2023년 4월 21일 부터 7월 30일 까지 마산, 창원, 진해에서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으로 들어오는 39개 하천 오염원을 조사했습니다. 경남생명의숲, 마산YMCA, 마산YWCA,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창원YMCA, 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애기똥풀,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등 8개 단체 실무자가 하천의 시작지점부터 끝까지 도보로 걸으며 오염원 유입현황을 사진으로 기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원 유입지도와 결과보고서를 제작하였습니다.
그 조사결과를 2023년 10월 23일(월) 오후2시 창원컨벤션센터 602호에서 오염원모니터링 결과보고회 통해 발표하였습니다.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위원장, 창원시 제2부시장, 모니터링 참가자, 창원시 해양항만국장과 업무 담당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9개 하천 및 마산구도심지역 오염원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대책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2023년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조사 결과보고회
2023년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조사 결과보고회
2023년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조사 결과보고회
2023년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조사 결과보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