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2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가 2018년 5월 16일(수) 오전10시30분 경남대학교내 민관산학협의회 사무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실무협의회 위원 5명, 참관인 3명, 사무국 2명 등 총 10명 참석하였으며 제35차 민관산학협의회 안건, 마산해양신도시 사후환경조사 공동모니터링, 위원추가 위촉 등 논의하였습니다. 

▲제32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제32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국제연안정화의 날은 9월 셋째주 토요일 해양쓰레기를 직접 줍고 모니터링해서 그 쓰레기의 종류와 발생원인을 찾아보는 봉사활동입니다. 전 세계에서 같은 양식으로 조사된 결과를 취합해 각 지역별 특성도 파악 할 수 있는 시민과학이 결합된 봉사활동입니다. 

국제연안정화의 날을 맞아 마산만, 진해만에서 정화활동과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습니다. 9월 21일부터 9월 22일까지 가포해안변공원 일대, 봉암갯벌 일대, 진해 명동일대, 두산엔진 앞 조간대에서 창원용호초등학교, 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두산엔진, 무학, 해성DS, 한화테크윈, 한화지상방산, 가톨릭여성회관 푸른봉사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환경관리공단 마산지사, 경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에서 460명이 참가하여 마대 464개(약 45㎥), 무게 약 1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였습니다. 

올해 조사결과 약 36,238개의 해양쓰레기가 모니터링 되었고 가장 많은 쓰레기는 유리조각 이었습니다. 스티로폼 조각, 비닐 봉지, 낚시줄, 음료수병, 담배/담배필터 등이 그 다음을 이었습니다.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7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 (일시) 2017년 9월 21일~22일(국제연안정화의날 행사 주간)
 (장소)  봉암갯벌, 봉암갯벌 생태체험장, 가포해안변공원, 진해구 명동일대, 두산엔진 앞 조간대 등
 (주최/주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창원시, 해양환경관리공단 마산지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경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참여 기업 및 단체 : 창원용호초등학교, 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두산엔진, 무학, 해성DS, 한화테크윈, 한화지상방산, 가톨릭여성회관 푸른봉사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해양환경관리공단 마산지사, 경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결과
- 학생, 기업, 시민 등 460명 참가 /  마대 464개 분량 해양쓰레기 수거/  부피 약 45㎥, 무게 약 10 ton 


  2017 국제 연안정화의 날 - 마산만, 진해만 지역 조사결과

- 두산엔진 조간대 200×10m, 봉암갯벌생태학습장 주변 400×2m은 조사카드 작성하지 않고 쓰레기 수거에 집중함


<해양쓰레기 수거량>
지점
조사면적
개수
(개 / 발생횟수)
무게(kg)
부피(㎥)
가포해안변공원
100m×7m
2,043
74
1.6
봉암갯벌생태체험장
150m×7m
1,485
139.9
1.0
봉암갯벌생태학습장
200m×7m
1,159
33.4
0.6
명동 어촌계양식장
200m×10m
9,226
3,000
10.0
가포 물량장 해변
300m×7m
22,325
7,000
30.0

 

<발생원인별 수거량>
분류
가포해안변
공원
봉암갯벌생태체험장
봉암갯벌생태학습장
명동어촌계
양식장
가포 물량장 해변
합계
(개)
비율
(%)
개수
개수
개수
개수
개수
일상생활 및 해변레크레이션 활동
554
569
627
985
12,240
14,975
41.32
해양 및 수로활동
178
402
35
861
3,240
4,716
13.01
흡연관련 활동
25
79
289
20
1,930
2,343
6.47
투기활동
64
261
26
160
910
1,421
3.92
의료 및 개인위생
3
0
0
0
50
53
0.15
지역별 기타
1,219
174
182
7,200
3,955
12,730
35.13
외국기인쓰레기
0
0
0
0
0
0
0
합계(개)
2,043
1,485
1,159
9,226
22,325
36,238
100
부피
(100리터 마대 수)
16

10
6
100
300
432
 
총무게
(kg)
74
139.9
33.4
3,000
7,000
10,247
 

 

<발생원인별 TOP10>
항목별 TOP10
순위
항목
개수
비율
1
유리조각
6,599
18.2
2
스티로폼 조각(2.5~50cm)
4,187
11.6
3
각종 비닐 봉지
3,466
9.6
4
낚싯줄
1,979
5.5
5
음료수병(플라스틱)
1,934
5.3
6
담배/담배필터
1,799
5.0
7
건축자재(벽돌, 철근, 목재 등)
1,355
3.7
8
일회용 종이컵, 종이접시
1,208
3.3
9
과자봉지, 라면봉지
1,205
3.3
10
옷, 신발, 모자
1,014
2.8

   


<그림> 대분류별 수거개수  

<그림> 일생생활 및 해변레크레이션 활동 항목별 조사결과 

<그림> 해양 및 수로활동 항목별 조사결과 

<그림> 흡연관련, 투길활동, 기타 등 항목별 조사결과

<그림> 지역별 기타 항목별 조사결과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협의회 소식 2017. 10. 11. 15:57 Posted by 생명의바다
2017년 9월 15일(금) 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위원 및 소속 단체 회원이 참석한 가운데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가 진행되었습니다. 

마산만의 수질과 생태가 회복되고 있음을 바다에서 직접 확인하는 기회를 가져보는 연안생태환경답사는 역사속의 마산만, 마산만 매립의 역사, 마산만 수질오염의 원인과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등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마산 연안크루즈 터미널을 출발하여 가포신항, 마창대교, 막개도 등대와 5부두, 돝섬을 돌아보았습니다. 마산만 한복판에 위치한 돝섬에서 해양환경교육장으로서의 돝섬의 역할을 고민해 보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

▲ 제37차 마산만 연안생태환경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