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17일 마산 YMCA 청년관에서 창원 하천(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유입하천) 현황 파악 및 오수 유입 지점을 확인하고 수질분야 관리현황 조사를 통해 하천 통합관리 방향 모색을 위한 각 하천별 현장조사, 기록지 작성, 커뮤니티 맵핑 활동 등을 실시한 오염원 감시활동(2018년 4월 20일부터 7월 10일까지 진행, 마산YMCA, 마산YWCA, 창원YMCA, 한국생태환경연구소,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경남시민환경연구소,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참가)의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창원지역 13개 하천, 마산지역 9개 하천, 진해지역 11개 하천을 조사하였고, 모니터링 결과 전체하천의 불명수유입지점 104개, 오수유입지점 323개, 우수토실 34개, 맨홀뚜껑 열림 10개로 조사되었습니다.


◇ 마산만 오수 유입 지도 링크

- 마산지역 : https://goo.gl/bToLRL

- 창원지역 : https://goo.gl/GJtiqy

- 진해지역 : https://goo.gl/rivVFd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 2018 마산만 유입하천 오염원 감시활동 결과보고회

2018 마산만 시민모니터링

협의회 소식 2018. 8. 8. 10:34 Posted by 생명의바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의 생태회복 확인과 생물서식처로서의 마산만의 특성을 시민과 함께 알아보는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이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 5월 13일 조류(물새)조사를 시작으로 수질조사(6월6일), 기수갈고둥 조사(6월 16일, 7월 28일), 염생식물 조사(6월 16일), 대형저서동물조사(6월 17일)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덕동만에서 멸종위기종 갯게의 서식이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기수갈고둥이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전역에 어떻게 서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계획입니다.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수질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수질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수질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기수갈고둥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기수갈고둥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염생식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염생식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염생식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대형저서동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대형저서동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대형저서동물 조사)

▲마산만 시민모니터링(대형저서동물 조사)


2018년 7월 6일(금) 14시부터, 경남발전연구원 회의실에서 협의회위원, 참관인, 연구진, 사무국 등 총 23명이 참석하여 제35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주요 안건으로 제3차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수립에 관한 사항, 마산만 관리계획 2016년 이행평가 결과보고 및 제3차 마산만 관리계획(2019~2023) 수립 계획, 마산만 내만 현상 진단 연구 경과보고, 마산해양신도시 공동조사 결과 보고 및 안골만 모니터링 경과보고,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위원 추가 위촉, 지역역량강화(교육홍보) 사업 계획 및 추진성과 등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제35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35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35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35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23회 바다의 날을 기념하여, 마산만(진해만) 정화활동을 2018년 5월 26일 부터 6월 1일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진해 구이동천 하류, 창원천 남천 합류지점, 가포해안변공원 봉암갯벌생태체험장, 진해 소쿠리섬, 귀산동 일대, 두산엔진 앞 조간대 등 7개 지점에서 정화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스타벅스, 창원자유학교, 가톨릭 여성회관 푸른봉사대, 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무학, 한화지상방산, 해성디에스, 경남환경기술인협회, 에코힐링교육센터, 두산중공업, 세아창원특수강, 두산엔진, 한화파워시스템 등 기업, 단체 및 학교 14개 참가, 총 참가인원 359명, 총 수거량 100L 마대 154개 분량 해안변쓰레기 및 약 10톤의 어업활동으로 발생한 쓰레기 수거하였습니다. 


▲ 2018년 바다의 날 마산만, 진해만 정화활동 지점


▲ 진해 구이동천 하류 정화활동(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 진해 구이동천 하류 정화활동(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 진해 구이동천 하류 정화활동(경상남도 자원봉사센터)


▲ 창원천, 남천 합류지점 정화활동(스타벅스)


▲ 창원천, 남천 합류지점 정화활동(스타벅스)

▲ 창원천, 남천 합류지점 정화활동(스타벅스)

▲ 창원천, 남천 합류지점 정화활동(스타벅스)


▲ 두산엔진 앞 정화활동(두산엔진, 한화파워시스템, 세아창원특수강)

▲ 두산엔진 앞 정화활동(두산엔진, 한화파워시스템, 세아창원특수강)

▲ 두산엔진 앞 정화활동(두산엔진, 한화파워시스템, 세아창원특수강)

▲ 봉암갯벌생태체험장(가톨릭여성회관 푸른봉사대)

▲ 봉암갯벌생태체험장(가톨릭여성회관 푸른봉사대)

▲ 진해 소쿠리섬 정화활동(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진해 소쿠리섬 정화활동(창원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