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1 25  창원시청 제3회의실에서 생명이 숨쉬는 건강한 마산만 해양환경 조성을 위해 창원시, 해양환경관린공단 ,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찬원 민관산학협의회 위원장을 비롯하여 박재현 창원시 1부시장, 곽인섭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을 비홋한 세 기관의 주요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하였습니다. 

세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마산만 해양환경측정망 잘를 공유하고, 해양환경조사, 침적쓰레기 분포 실태조사 및 수거, 해양환경개선 인식증진 사업 등을 통해 건강한 마산만 조성에 적극 협력할 계획입니다. 



무인도서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협의회 소식 2014. 12. 10. 17:10 Posted by 생명의바다
무인도서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2012년에 이어 두번째 무인도서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2014년 11 16 진해구 소고도(소쿠리섬)에서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회원 , 창원시 수산과  17명이 참석한 가운데 무인도서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날 100L 마대 70 분량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였습니다.

 

<수거작업 전 해변의 모습>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중> 

<수거된 해양쓰레기>

<참가자 단체사진>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 참가자들의 2시간 작업량>

<외국기인(중국) 해양쓰레기로 추정되는 부표> 

<외국기인(중국) 해양쓰레기로 추정되는 부표>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2014 11  19 창원시청 3회의실에서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가 개최되었습니다. 민관산학협의회 위원 12 , 사무국 2, 참관인 5   19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시, 해양환경관리공단,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간 MOU 체결', 제2차 시행계획의 ‘유역정화사업 오염부하 삭감 효과의 평가’ 에 관한 사항, 마산해양신도시 관련 건, 2014년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교육홍보사업 보고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2014 국제연안정화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 행사

2014 9월 13 , 9 20, 9  25 ~27  5일동안 마산만, 진해만 일대에서 국제연안정화의날 마산만, 진해만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 , 경상남도, 창원시 , 창원해양경찰서, 해양환경관리공단 마산지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녹색경남 21추진협의회, 진해시니어클럽 공동 주최로 민관산학이 함께 기획하고 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올해의 행사는 '마산만 진해만 희망찾기'라는 슬로건으로 시민캠페인,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및 모니터링,  마산만 생물상 탐구조사대회 등의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국제연안정화의 날 시민 캠페인
2014 9 13, 창원공설운동장 만남의 광장, 9 20 )마산지방해양항만청, 9 27 봉암갯벌생태학습장에서 '바다로  플라스틱(플라스틱의 역습)' 이라는 주제로 시민캠페인을 실시하였습니다. 바다쓰레기  플라스틱과 스티로폼의 얼마나 많은지 시민들에게 알리고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해 재활용분리배출, 소비문화와 생활습관 변화의 필요성을 홍보 하였습니다.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및 조사카드 작성
2014 9 25일부터 27일까지 동원F&B 조간대, 두산엔진  조간대, 봉암갯벌, 적현로 입구 조간대, 진해 소죽도 부근  5곳에서 학생, 기업, 시민  285명이 참가한 가운데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조사카드 작성을 실시하였습니다. 정화활동 결과 100L마대 210 분량 해양쓰레기 수거(부피  20㎥, 무게  1,330kg) 하였습니다




마산만 Survey & Clean up
2014 9 27 봉암갯벌생태학습장에서 20가족(80) 참가한 가운데 마산만 Survey & Clean 개최하였음. 봉암갯벌 생태학습장에서 국제연안정화의 날의 취지, 조사카드 작성법, 해양쓰레기 관련 교육, 마산만 생물 교육 등을 실시하고 봉암갯벌 생태체험장에서 해양쓰레기 정화활동과 조사카드 작성  마산만 생물상 탐구조사 활동을 펼쳤습니다





특히 마산만 뿐만아니라 시화호, 광양만, 부산연안, 울산연안 등 전국의 특별관리해역에서 국제연안정화의 날 행사를 공동으로 개최하여 더욱 더 의미 있는 국제연안정화의 날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