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봉암갯벌 공동교육 - 2014 상반기

협의회 소식 2014. 6. 2. 16:27 Posted by 생명의바다

마산만의 희망 '봉암갯벌'에서 마산만 주변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마산만, 봉암갯벌 공동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봉암갯벌 생태가이드와 마산만 민관산학협의회 사무국이 함께 진행한 이번 교육은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마산만의 해양환경과 습지보호지역 봉암갯벌의 가치에 대한 내용과 Wet project(놀이와 참여를 통한 교육)를 이용한 물의 소중함을 느껴보는 물환경 교육, 봉암갯벌의 생물(환형동물, 물새)살펴보기, 영상물 관람등의 내용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14년 4월 9일(수) 마산 합포중학교 2학년 35명을 시작으로 4월 10일 마산중학교 1학년 29명, 5월 7일 합포중학교 2학년 32명 등 3차에 걸친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1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1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1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1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2차 (마산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2차 (마산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2차 (마산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3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3차 (합포중학교)


▲ 마산만, 봉암갯벌 교육 - 3차 (합포중학교)

2014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회의 개최결과

협의회 소식 2014. 4. 30. 15:00 Posted by 생명의바다

2014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회의 개최결과

 

 ○ 목적 :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 관리협의체 사무국 간 정보 및 경험 공유를 통해서 특별관리해역의 해양환경개선을 위한 실무자 역량강화

 ○ 주관 : 시화호관리위원회 사무국

 ○ 일시 : 2014년 4월 7일(월) 14:00 〜 16:00

 ○ 장소 : 울산대학교 산학협동관(35호관) 113호 회의실

 ○ 참석자 :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 관리협의체 사무국 담당자 및 역량강화사업 담당자 등 12명

 ○ 주요 논의안건

   -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 관리협의체 사무국 2014년 사업추진계획 공유

   - 뉴스레터 발행 등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공동사업 논의

   - 2014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워크숍 개최계획 논의

   - 특별관리해역 관리체계 관련 논의

 

□ 주요 논의결과

 ○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 관리협의체 사무국 2014년 사업추진계획 공유

   - 마산만·시화호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사무국 2014년 사업추진계획 및 부산연안·울산연안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사무국 현황 발표 및 공유

      ※ 부산연안 및 울산연안의 경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용역사업이 4〜5월 종료되므로 현재 사무국 및 민관산학협의회 관련 상황 설명 

      ※ 특별관리해역별 관리협의체 위원 명단과 지난 회의 안건 목록을 공유하기로 함

 ○ 뉴스레터 발행 등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공동사업 논의

   - 2014년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뉴스레터는 상반기(5월), 하반기(11월) 1회씩 총 2회 발행하기로 함

      ※ 기사 취합 및 뉴스레터 제작 : 마산만 협의회 사무국  배포 : 각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사무국

   - 국제연안정화의 날에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공동으로 연안정화활동을 수행하기로 함

      ※ 네트워크(지역 단체 담당자 포함)에서 오션 주관 해양쓰레기모니터링 워크숍 참석(워크숍 일정은 마산만 사무국에서 사전 공지)

      ※ 행사 전 사전회의 2〜3회 진행, 특별관리해역별 관리협의체 사무국-지방해양항만청-시민단체 협조체제 구축, 연안정화활동 규모는 지역 사정에 맞게 설정, 쓰레기모니터링결과는 공동 분석

   - 다양한 수준에서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간에 교류를 활성화하기로 함  

      ※ 마산만-시화호 시민모니터링 활동가 교류(시화호팀이 마산만팀 방문), 마산만-부산연안 ‘바다의 날’ 행사 관련 교류, 타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회의 시 사무국 담당자 참관 등

 ○ 2014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워크숍 개최계획 논의

   - 개최 시기 및 장소 : 10월 말〜11월 초, 부산 예정

   - 참석대상 : 해양수산부,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담당자 및 역량강화사업 시행 NGOs 담당자 등

   - 주요 프로그램 : 특별관리해역 관련 법(초안이 나왔을 경우) 검토,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공동사업 평가, 특별관리해역별 역량강화사업 소개(구체적으로) 및 토론

 ○ 특별관리해역 관리체계 관련 논의

   - 환경관리해역 기본계획 수립 중인 특별관리해역에서는 관리협의체 사무국, NGOs 등 지역사회 대상 설명회 필요

   - 특별관리해역 관련 법 제정 전 특별관리해역 관리협의체 사무국 의견조회 절차 및 지방해양향만청 담당자 교육 필요



봉암갯벌 해양쓰레기 모니터링(2014년 2차)

제법 쌀쌀하기는하지만 봄날씨를 제촉하는 3월, 봉암갯벌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이 있었습니다. 

봉암갯벌 10m X 150m 인공섬에서 두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해양쓰레기 수거에 그치지 않고 어떤 쓰레기가 얼마나 마산만으로 유입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매번 함께 해주시는 분들은 창원지역 스타벅스 봉사자들입니다. 

2010년부터 파트너로 함께 하셨으니 벌써 5년째 인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월 26일에도 스물세분이 소중한 손길을 보태 주셨습니다. 

모니터링 시작 전 주의사항을 안내와 갯벌 안쪽에서 쓰레기를 수거할 인원과 바깥쪽에서 다른 봉사활동을 하실 분들을 나눕니다. 


봉사활동의 필수 코스.. 단체 사진입니다..



마산만 봉암갯벌은 습지보호지역으로 아무나 들어갈 수 없습니다. 딱 두달에 한번 해양쓰레기 모니터링을 위해 그 길이 열립니다. 갯벌 피해를 최소로 막기위해 일렬로 들어갑니다.



처음 오신 봉사자는 갯벌을 빠져 나오는데 애를 먹으셨네요~~ 


다시한번 주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수거작업 시작~~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하다보니 아주 작은 스티로폼 조각까지 모두 수거해야 합니다. 특히 갈대 사이사이에 조각난 스티로폼 조각을 꺼내기 위해서는 갈대를 피해 요리조리 몸을 비틀고 손을 쑥 집어 넣어야 합니다.. 갈대 피어나는 시기라 갈대의 새순도 조심해야 하구요~~ 






수거 후에도 사진을 찍어주는 센스~~ 



이번 조사에서도 가장 많은 쓰레기는 스티로폼, 담배꽁초, 담배비닐, 음식물포장지 등 이었습니다. 


2014 경남물포럼 제11회 습지연안 포럼

협의회 소식 2014. 4. 3. 14:00 Posted by 생명의바다
2014년 3월 21일 창원컨벤션센터 607호에서 2014 경남물포럼 제11회 습지연안포럼이 세계식량과 습지연안의 생태적 건상성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습니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등이 공동 주관한 습지연안포럼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김영옥 박사의 '진해만 해양 생태계 건강성 평가' 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홍수연 연구원(동아시아바다 공동체 오션), 이찬우 박사(경상남도 람사르 환경재단), 최병대 교수(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의 주제 발표와 박찬국장(녹색창원21실천협의회), 이인식 교장(따오기 자연학교), 곽승국 관장(화포천 생태학습장) 등 패널의 토론이 있었습니다. 홍수연 연구원은 스티로폼 부자 연안습지의 생태적 위협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고, 이찬우 박사는 습지와 농업, 미래의 성장 파트너라는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최병대 교수는 연안습지와 수산자원이라는 주제로 연안습지와 수산자원의 관계에 대해 발표해 주셨습니다. 
  
▸ 주제 : 세계식량과 연안 습지의 생태적 건강성
▸ 일시 : 2014년 3월 21일 (금) 14:00~
▸ 장소 : 창원컨벤션센터 607호
▸ 주관 :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 경남대학교 도시환경공학과,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 경남녹색환경지원센터,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경남그린스타트네트워크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개회사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축사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


▲ 2014 경남물포럼 습지연안 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