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회의(1차) (0) | 2016.06.28 |
---|---|
제3차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추진을 위한 연구진 워크숍 (0) | 2016.06.28 |
2016년 제21회 바다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행사 (0) | 2016.06.28 |
바다의 날 캠페인 (0) | 2016.05.17 |
제29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0) | 2015.12.01 |
2016 특별관리해역 네트워크 회의(1차) (0) | 2016.06.28 |
---|---|
제3차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추진을 위한 연구진 워크숍 (0) | 2016.06.28 |
2016년 제21회 바다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행사 (0) | 2016.06.28 |
바다의 날 캠페인 (0) | 2016.05.17 |
제29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0) | 2015.12.01 |
제21회 바다의 날(5월31일)을 기념해 마산만, 진해만 바다주간행사(해양쓰레기 정화활동, 시민캠페인)가 5월 25일 부터 31일까지 마산만, 진해만 일원에서 열렸습니다. 바다의 날을 기념하고 전국 최초로 도입·시행중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제와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산지방해양수산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 등이 함께하는 민관산학 협력 프로그램으로 진행 했습니다.
마산만 수질개선을 위한 해양쓰레기 정화활동은 5월 25일부터 5월 31일에 걸쳐 봉암갯벌, 창원천·남천 합류부, 마산만, 행암만, 창포만 8개지점에서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창원시 등 행정기관과 두산엔진, 두산중공업,세아창원특수강, 해성DS, 한화테크윈, 스타벅스 커리코리아 등 기업 및 경상남도자원봉센터, 폴리텍Ⅶ대학, 문성대학, 창원시 자원봉사센터, 창원대학교,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녹색창원21실천협의회, 진해시니어클럽 근린생활시설관리사업단, 가톨릭여성회관 푸른봉사대,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에서 754명이 참여해 마대 615개 분량(부피 약 40㎥) 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습니다.
이와 함께 5월 30일 창원 한성병원 앞 광장에서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녹색창원21실천협의회, 스타스벅 커피코리아와 플라스틱 스레기 줄이기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머그잔, 텀플러를 가져오면 커피를 제공하고 1회 용품, 플라스틱 제품 사용 줄이기 서약을, 커피찌꺼기로 만든 비료를 이용한 재활용 컵 화분 만들기, 미세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 2016 바다의 날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장소
▲ 2016 바다의 날 해양쓰레기 정화활동
제3차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추진을 위한 연구진 워크숍 (0) | 2016.06.28 |
---|---|
제2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0) | 2016.06.28 |
바다의 날 캠페인 (0) | 2016.05.17 |
제29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0) | 2015.12.01 |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0) | 2015.12.01 |
5월 31일은 바다의 날 입니다.
바다의 날을 맞아 올해의 캠페인 주제를 '치명적 위험 미세 플라스틱' 입니다.
Ⅰ. 마산만 살리기 응원메시지 전달하기 (https://goo.gl/CPxGRU)
Ⅱ. 치명적 위험 미세 플라스틱
요즘 언론에도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화장품, 치약, 세안제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는 지름 500㎛ 이하부터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지름 1~5mm 까지의 플라스틱을 미세플라스틱 혹은 마이크로플라스틱 이라 부릅니다.
미세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들어온 플라스틱이 잘게 부서진 경우도 있지만 화장품, 세안제, 스크럽제 등 에 사용되는 플라스틱비즈들이 하수종말처리장에서 걸러지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너무작은 미세플라스틱을 하수종말처장에서 처리할 방법은 없습니다.
바다로 흘러든 플라스틱은 썩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거의 영원히 바다에 남습니다. 현재 일부 바다에는 플랑크톤보다 미세 플라스틱이 더 많이 떠다니고 있으며,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오인해 바다 생물들이 먹기도 합니다.
여성환경연대(http://ecofem.or.kr/facetofish)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하는 400여개의 국내 상품을 조사하여 그결과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 사용 화장품 확인하기
여성환경연대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만들기 위한 청원운동도 함께 펼치고 있습니다. 온라인 청원하기 (https://secure.avaaz.org/kr/petition/sigpumyiyagpumanjeonceo_gimseunghyi_ceojang_hwajangpum_sog_mise_peulraseutig_sayong_geumji_beobaneul_cogguhabnida/?nMDIQab)
화장품속의 미세플라스틱의 사용 금지도 중요하지만 일상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스티로폼이 바다로 유입되어 잘게부서지는 경우도 많은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없는지,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일 방법은 없는지 살피는 것도 중요합니다.
제28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0) | 2016.06.28 |
---|---|
2016년 제21회 바다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행사 (0) | 2016.06.28 |
제29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0) | 2015.12.01 |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0) | 2015.12.01 |
제8회 마산만 사랑 사생실기대회 (0) | 2015.12.01 |
2016년 제21회 바다의 날 마산만, 진해만 지역행사 (0) | 2016.06.28 |
---|---|
바다의 날 캠페인 (0) | 2016.05.17 |
제27차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 실무협의회 (0) | 2015.12.01 |
제8회 마산만 사랑 사생실기대회 (0) | 2015.12.01 |
2015 국제연안정화의 날 올해의 발견. (0) | 2015.12.01 |